겨울철 내리는 눈과 도로의 결빙 때문에 운전하기가 까다로운 계절이 온 것 같습니다.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 역시 과속하지 않고 천천히 서행을 하는 것일텐데요. 서행을 하는만큼 중요한 안전운전 요령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겨울철 눈길 혹은 급경사 내리막길에서는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운전을 할 때 눈길을 만나거나 급격한 경사가 진 내리막길을 오랫동안 내려갈 때 사용하면 좋을 엔진 브레이크의 올바른 사용법과 주의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엔진 브레이크의 작동 원리
일반적으로 우리가 브레이크를 사용할 때 밟는 브레이크 페달… 즉 풋브레이크는 자동차 휠의 디스크 면과 브레이크 패드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자동차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를 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엔진 브레이크는 풋 브레이크와는 달리 엔진의 저항을 이용해 속도를 줄이는 방식입니다.
즉 기어비를 이용해 기어비를 낮추는 방식으로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는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는 것만으로 엔진 브레이크가 작동을 하게 되며, 수동 차량은 기어를 한단계씩 낮출수록 엔진 브레이크의 힘이 커지게 됩니다. 즉 엔진 브레이크는 엔진의 저항을 높여 서서히 속도를 줄이는 방식인 것이지요.
엔진 브레이크 장점
-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감소
- 브레이크 과열 방지
- 눈길이나 내리막길에서 안정성 향상
엔진 브레이크는 풋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바퀴나 휠 쪽의 브레이크 패드가 작동하지 않아 브레이크 패드 마모를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특히 긴 내리막길에서 풋브레이크를 계속 밟다 보면, 브레이크 계통에 열이 받으면서 과열이 되어 심할 경우, 브레이크가 작동 불능이 되는 위험한 상황에 맞닥뜨리게 되기도 하지요. 암튼, 엔진 브레이크는 적절한 상황에서 사용하면 안전하게 주행이 가능합니다.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해야 할 때는?
긴 내리막길에서
통상적인 짧은 내리막길에서는 그냥 풋브레이크 정도만 사용해도 큰 문제가 없지만, 산길 같이 내리막길이 꽤 오랫동안 이어지는 구간에서는 풋브레이크 대신 엔진 브레이크를 적절히 사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눈길 빙판길에서
겨울철 눈길이나 빙판길은 많이 미끄러운 편이지요. 눈이 자주 내리는 지역에서 운전을 하는 분이라면, 나도 모르게 풋브레이크를 조금이라도 세게 밟으면 차가 휙 돌아간다거나 미끄러지는 경험을 한 번씩 해보셨을텐데요. 눈길에서 속도를 줄여야 할 상황이 온다면, 풋브레이크 대신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미끄럼 방지에 훨씬 더 도움이 됩니다.
엔진 브레이크의 올바른 사용법 및 주의사항
자동변속기 차량
변속 기어 레버를 D 에서 2 또는 1(또는 L) 위치로 전환하면 자연스럽게 RPM이 올라가며 제동 효과가 발생합니다. 다만, 고속에서 바로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차에 무리가 갈 수 있으니 저속의 상황에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고속에서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려면, 그냥 가속 페달에서 발만 떼면 자연스레 엔진 브레이크가 걸리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수동변속기 차량
요즘은 일반승용차의 경우, 수동변속기 차량이 거의 사라진 편이지만, 수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기어 단수를 한단계씩 서서히 낮추며 감속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