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실내 적정온도 및 보일러 도시가스 난방비 절약 꿀팁

아직은 실내 보일러를 틀 만한 추운 날씨는 아니지만, 이제 곧 추운 겨울이 닥치게 될텐데요. 여름에 에어컨 전기요금이 걱정되듯, 겨울철엔 보일러 도시가스비가 걱정이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보일러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겨울철 보일러 작동을 통한 난방을 위해 실내 적정온도는 몇 도를 유지하면 좋을지.. 그리고 실제로 겨울철 보일러 도시가스 난방비 절약을 위한 꿀팁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는 몇 도 정도로 유지할까?

실내온도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는 너무 따뜻하게 온도를 올리는 것보다는 내복을 입은 상태에서 적절히 보온이 유지되는 정도가 딱 좋다고 말하는데요. 대략 18~22도 정도 사이라 보시면 됩니다. 사실 20도 아래로 설정해 놓으면 살짝 추운 감이 없지 않아 있기 때문에 20~22도 정도로 맞추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다고 생각되는군요.


실내온도를 이 정도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실내외 온도차를 줄이면서 우리 몸의 혈액순환도 원활하게 도와주기 때문인데요. 만약 실내온도를 너무 높여버리면, 실내외 온도차가 크게 나서 추운 곳에 있다가 실내로 들어오는 일이 반복되면, 혈관이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실내 적정온도 유지는 난방비 절약에도 도움이 되지요.

겨울철 보일러 난방비 절약 꿀팁

보일러의 적절한 실내온도 및 올바른 사용

아무래도 가장 크게 체감되는 부분이 보일러 난방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난방비의 차이가 큰 편인데요. 실내온도를 평소보다 1~2도 낮추는 것이 생각보다 난방비 절감에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여름철 에어컨처럼 보일러를 껐다 켰다 하기 보다는 적정온도를 설정한 다음, 예약 타이머 기능을 이용해 일정 시간이 되면 꺼지고 켜지게 되도록 설정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보일러-온도

에어컨 전기요금도 너무 더운 상태에서 강냉방을 하면 전력소모가 많아지듯이 보일러 난방비 역시 너무 추운 곳에서 갑자기 실내온도를 높이려 하면 가스비나 기름값이 더 많이 들 수밖에 없는데요. 따라서 외출 시에도 너무 차가워지지 않도록 외출모드나 적절한 실내온도를 유지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단열이 잘 안되는 집이나 웃풍이 심한 집은 보일러 온도를 설정할 때 온도 기준을 실내 온도가 아닌 온돌모드의 온도로 설정해 두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실내 온도로 설정하면, 웃풍 영향으로 실제 실내 온도가 낮게 측정되어 보일러가 더 세게 돌아가기 때문이예요.

단열 작업

오래된 구축이나 일반 주택의 경우, 단열이 잘 안되어 있어 보일러 난방비가 더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낡은 창틀 사이로 찬바람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 찬바람이 실내온도를 올리는데 방해가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평소에 단열작업만 잘해두면 난방비를 아낄 수 있는데요. 창틀에 뽁뽁이나 단열 문풍지 같은 것을 바르는 것도 꽤 효과가 큰 편이니 다이소나 마트 같은 곳에서 단열재를 직접 사다 작업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커튼

그리고 커튼이 있다면 커튼으로 웃풍을 막아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고요. 보일러가 꺼졌을 때에도 바닥의 온기가 오래갈 수 있도록 러그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가습기 사용

가습기

겨울철에는 적절한 실내온도 뿐만 아니라 적정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겨울철 적절한 실내 습도는 40~60% 정도인데요. 적정 습도를 유지하면 공기 순환이 잘 되어 실내공가기 빠르게 데워지는데 도움이 되고, 호흡기나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도 막아줄 수 있습니다.

내복 및 수면양말

간혹 겨울철 실내온도를 많이 올려놓은 상태에서 정작 실내에서는 반팔과 반바지로 생활하는 분들도 계신데요. 반팔과 반바지를 입고도 겨울철 따뜻한 실내 상태라면 아마 보일러 실내온도 설정이 꽤 많이 높은 상태일 것입니다. 이는 보일러 난방비에 도움이 되지 않으니 왠만하면 내복과 수면양말 등을 사용해 적절한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난방비 절감에 도움이 되겠지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