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 의무 나이 및 보험료 할인 혜택

최근 뉴스나 신문기사를 보면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소식을 심심찮게 볼 수 있는데요. 물론 젊은 사람들도 교통사고 비율이 높긴 합니다만, 아무래도 나이가 들면 순발력이나 인지력이 떨어지기 마련이어서 항상 조심운전, 안전운전이 필요한데요.

고령운전자-교통안전교육

최근 사회 자체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고 고령운전자 숫자가 급격히 늘어나는 시점에서 한국도로교통공단에서는 고령자의 교통안전을 위해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 교통안전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지 아닌지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많을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 의무 나이는 몇 사부터인지, 그리고 교육을 받았을 때 받는 혜택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추이 현황

고령운전자-사고현황

보다시피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현황은 통계로도 명확히 나와 있는데요. 2019년 이후 2012년까지는 잠시 줄어드는 듯하다가 2022년부터 다시금 늘고 있는 상황이예요. 2023년도 기준 거의 4만건 가까이 교통사고가 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 의무 나이는?

  • 권장 나이 : 만 65세 이상
  • 의무 나이 : 만 75세 이상

흔히 고령운전자의 기준을 만 65세 이상 나이를 가진 운전자를 의미하게 되는데, 다만, 한국도로교통공단에서 시행하는 교통안전교육의 의무 나이는 만 75세 부터입니다. 즉 만 65세 이상은 권고 사항이지만, 만 75세 이상부터는 반드시 의무적으로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이예요. 이는 도로교통법 제 73조 제 5항에도 표기되어 있습니다.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 예약 및 진행 과정

만 65세 이상 고령운전자(권장)

고령운전자-교통안전교육

만 65세 이상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은 오프라인 교육으로만 진행되며, 예약은 1577-1120 또는 안전운전 통합민원 사이트에서 일정 확인 후 예약이 가능합니다.

만 75세 이상 고령운전자(의무)

고령운전자-교통안전교육

만 75세 이상 고령운전자 역시 교육일정 확인 및 예약은 위의 안전운전 통합민원 사이트나 전화예약이 가능하지만, 검사 전 치매검사를 먼저 진행해야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 75세 이상 고령자 교육은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진행이 가능해요.

고령운전자-교통안전교육

치매검사는 병의원에서 하는 방법, 또는 지역 치매안심센터(1899-9988)에서 하는 방법, 그리고 한국도로교통공단 운전면허시험장(1577-1120)에서 하는 방법 등이 있으니 원하는 방법 중 택1 하여 검사를 받으면 됩니다. 특히 만 75세 이상 고령자는 치매검사와 교통안전교육을 모두 받아야만 정기적성검사(갱신)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 이수 후 보험료 할인 혜택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을 이수하고 나면, 향후 2년간 보험료 할인 혜택이 주어집니다. 할인율은 5% 인데요. 교통안전교육 시 인지 지각검사에 합격하고, 3년 이내 이수한 교육 수료증을 보험사에 제출하면 보험료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