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및 검사항목 지정 병원 찾기

이번 글에서는 국가에서 시행하는 국가건강검진대상자 조회 및 검사 항목, 그리고 건강검진 지정 병원 찾기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텐데요. 대한민국에서는 누구든 2년에 한 번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가끔 바쁘다 보면 검진기간을 잊어 버리거나 건강검진을 받지 못한 채 해를 넘기는 경우도 있는데, 올해 2023년의 경우, 자신이 검진대상자에 해당이 되는지 미리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및 검사 주기

국가건강검진대상자
  • 지역가입자 : 세대주 및 20세 이상 세대원, 2년에 1회 검진
  • 직장피부양자 : 20세 이상 피부양자, 2년에 1회 검진
  • 직장가입자 : 사무직 2년에 1회, 비사무직 매년 검진
  • 19~64세 의료급여 수급권자 : 2년에 1회 검진
  • 올해 2023년의 경우에는 홀수년도 출생자가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국가건강검진 검사 항목

국가건강검진-검사항목
  • 기본 검사항목 : 문진 및 체위검사(시력, 청력, 혈압측정 포함), 흉부방사선 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구강검진 등
  • 성별, 연령별 항목
    • 혈액검사(이상 지지혈증 검사) : 남성 24세 이상, 여성 40세 이상 4년 마다
    • B형 간염 : 40세
    • 골밀도 검사(골다공증) : 54세, 66세 여성
    • 인지기능장애 : 66세 이상 (2년에 1회)
    • 정신건강검사(우울증) : 20, 30, 40, 50, 60, 70세 (해당 연령대에 1회)
    • 생활습관평가 : 40, 50, 60, 70세
    • 노인신체기능 : 66, 70, 80세
    • 치매세균막 검사 : 40세 (구강검진)

6대암 검진 대상자

6대암검진대상자
  • 위암 : 40세 이상 2년에 한 번
  • 유방암 : 40 이상 여성 2년에 한 번
  • 대장암 : 50세 이상 1년에 한 번
  • 간암 : 40세 이상인 자 중 아래 고위험군 6개월에 한 번
    •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양성
    •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양성
    •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 환자
    • 간경변증
  • 자궁경부암 : 20세 이상 여성 2년에 한 번
  • 폐암 : 54~74세 고위험군 대상 2년에 한 번 (새로 추가)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

국민건강보험-홈페이지

우선 자신이 올해 건강검진대상자인지 아닌지 확인 및 조회해 보는 방법은 인터넷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로 접속을 한 뒤, 로그인 후, 첫 화면에서 ‘건강검진 대상조회’ 항목을 선택해 주세요.

국가건강검진대상자-조회결과

그럼 조회 결과 화면에서 로그인 된 개인정보를 통해 건강검진 대상자인지 아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저의 경우, 홀수년도 출생이기 때문에 올해 2023년 건강검진 대상자로 해당이 되고요. 일반검진 및 구강검진에 대해서는 국가에서 검사 비용을 부담하기 때문에 따로 검사비용을 지출되는 비용은 없습니다. 다만, 암검진에 해당되는 분들은 일정 비용이 발생할 수 있고, 저는 위암 검진을 10% 비용 부담을 하라고 나와 있더군요.

국가건강검진 지정 병원 및 의료기관 찾기

  • 국가건강검진대상자 조회 결과 화면 아래에서 ‘검진기관 찾기’ 항목 선택
  • 거주지 주변의 검진기관 검색
국가건강검진-지정병원
국가건강검진-지정병원

만약 올해 국가건강검진 대상자라면, 어디서 검진을 받으면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조회 결과 화면 아래에 보시면, ‘검진기관 찾기’ 항목이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현재 자신의 거주지 주변에 위치한 검진 병원 및 의료기관을 찾아볼 수 있고, 또한 암검진이 가능한 병원들도 찾아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