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국가에서 시행하는 국가건강검진대상자 조회 및 검사 항목, 그리고 건강검진 지정 병원 찾기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텐데요. 대한민국에서는 누구든 2년에 한 번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가끔 바쁘다 보면 검진기간을 잊어 버리거나 건강검진을 받지 못한 채 해를 넘기는 경우도 있는데, 올해 2023년의 경우, 자신이 검진대상자에 해당이 되는지 미리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및 검사 주기
- 지역가입자 : 세대주 및 20세 이상 세대원, 2년에 1회 검진
- 직장피부양자 : 20세 이상 피부양자, 2년에 1회 검진
- 직장가입자 : 사무직 2년에 1회, 비사무직 매년 검진
- 19~64세 의료급여 수급권자 : 2년에 1회 검진
- 올해 2023년의 경우에는 홀수년도 출생자가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국가건강검진 검사 항목
- 기본 검사항목 : 문진 및 체위검사(시력, 청력, 혈압측정 포함), 흉부방사선 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구강검진 등
- 성별, 연령별 항목
- 혈액검사(이상 지지혈증 검사) : 남성 24세 이상, 여성 40세 이상 4년 마다
- B형 간염 : 40세
- 골밀도 검사(골다공증) : 54세, 66세 여성
- 인지기능장애 : 66세 이상 (2년에 1회)
- 정신건강검사(우울증) : 20, 30, 40, 50, 60, 70세 (해당 연령대에 1회)
- 생활습관평가 : 40, 50, 60, 70세
- 노인신체기능 : 66, 70, 80세
- 치매세균막 검사 : 40세 (구강검진)
6대암 검진 대상자
- 위암 : 40세 이상 2년에 한 번
- 유방암 : 40 이상 여성 2년에 한 번
- 대장암 : 50세 이상 1년에 한 번
- 간암 : 40세 이상인 자 중 아래 고위험군 6개월에 한 번
-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양성
-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양성
-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 환자
- 간경변증
- 자궁경부암 : 20세 이상 여성 2년에 한 번
- 폐암 : 54~74세 고위험군 대상 2년에 한 번 (새로 추가)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
-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후 메인화면에서 ‘건강검진 대상조회’ 항목 선택
- 조회결과 확인
우선 자신이 올해 건강검진대상자인지 아닌지 확인 및 조회해 보는 방법은 인터넷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로 접속을 한 뒤, 로그인 후, 첫 화면에서 ‘건강검진 대상조회’ 항목을 선택해 주세요.
그럼 조회 결과 화면에서 로그인 된 개인정보를 통해 건강검진 대상자인지 아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저의 경우, 홀수년도 출생이기 때문에 올해 2023년 건강검진 대상자로 해당이 되고요. 일반검진 및 구강검진에 대해서는 국가에서 검사 비용을 부담하기 때문에 따로 검사비용을 지출되는 비용은 없습니다. 다만, 암검진에 해당되는 분들은 일정 비용이 발생할 수 있고, 저는 위암 검진을 10% 비용 부담을 하라고 나와 있더군요.
국가건강검진 지정 병원 및 의료기관 찾기
- 국가건강검진대상자 조회 결과 화면 아래에서 ‘검진기관 찾기’ 항목 선택
- 거주지 주변의 검진기관 검색
만약 올해 국가건강검진 대상자라면, 어디서 검진을 받으면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조회 결과 화면 아래에 보시면, ‘검진기관 찾기’ 항목이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현재 자신의 거주지 주변에 위치한 검진 병원 및 의료기관을 찾아볼 수 있고, 또한 암검진이 가능한 병원들도 찾아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