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ETF 운용보수 보는 법 및 기타비용 포함한 총비용 비교 방법

이번 글에서는 국내 ETF 주식 투자자분들을 위해 국내 ETF 운용보수 보는 법 및 기타비용을 포함한 총비용 보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최근 미국주가 상승에 힘입어서 그런지 국내 증권사에서 운용하는 ETF 이지만, 미국 ETF 지수를 따르는 상품들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이는 미국 ETF에 직투를 하는 것보다 절세를 위해 연금저축펀드 계좌나 ISA 계좌를 활용하고자 국내 상장된 미국 ETF 주식에 투자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국내 ETF 운용보수란?

국내 증권사(자산운용사)가 다양한 종목의 주식들을 모아 ETF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유지하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을 말하는데요. 영어로는 Expense ratio 라 불리며, 바로 투자자들에게 부담시키는 비용이기도 합니다.

국내 ETF 운용보수 계산 및 지급 방식

  • ETF 운용보수(%) = ETF 운용비용 / ETF 총 자산가액

각 자산운용사에서 운용보수를 결정할 때 ETF 운용비용은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대부분 ETF 총 자산가액의 규모가 클수록 ETF 운용보수가 낮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지요. 참고로 개인투자자가 자산운용사에게 ETF 운용보수를 지급하는 방식은 별도 지급이 아닌 ETF 주가에 이미 포함이 되어 반영된다는 점 미리 알고 계시기 바랍니다.

국내 ETF 운용보수 보는 법

  • 투자설명서 운용보수 : 기타비용이 빠진 비용만 포함
  • 금융투자협회 사이트 : 기타비용까지 포함된 총 비용 확인 가능

국내 ETF 운용보수는 자산운용사에서 ETF 상품을 출시할 때 자산운용사 홈페이지나 포털에서 제공하는 투자설명서에 표기가 되어 있지만, 다만 투자설명서에 표기된 운용보수는 기타비용이 빠진 비용만 표기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기타 비용까지 포함되어 있는 진짜 운용보수 총 비용을 확인하려면 금융투자협회 사이트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산운용사 투자설명서 또는 포털에서 확인

KBSTAR-미국나스닥100
  • KBSTAR 미국나스닥100 포털 및 투자설명서 운용보수 : 0.021%

예를 들어 미국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KBSTAR 미국나스닥100 ETF의 경우, KB자산운용사가 출시한 ETF 상품인데, 네이버 포털에서 검색했을 때에는 2023년 7월 현재 ETF 운용보수가 연 0.021% 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 사이트에서 확인

금융투자협회-전자공시서비스
  •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 서비스 [바로가기]
  • 상단메뉴 ‘펀드공시-펀드별 보수비율 비교’ 항목 선택
펀드별-보수비용-비교
  • 펀드별 보수비용 비교 화면에서 펀드명에 검색하고자 하는 ETF명 입력
  • 총 운용보수=기본 보수율 합계+기타비용+판매수수료+매매 중개수수료율

하지만, 금융투자협회 사이트에서 펀드별 보수비용 비교 화면을 통해 직접 검색을 해보면, 기본 보수율 합계에서 추가로 기타비용 및 판매수수료, 매매 중개수수료가 더해진 비율이 총 운용보수 비율이 됩니다. 따라서 KBSTAR 미국나스닥100 ETF의 진짜 운용보수는 0.021+0.11+0.0097=0.1407%가 되는 것이지요. 이처럼 기본 포털에서 검색한 운용보수와 금융투자협회에서 조회한 운용보수 차이가 있으니 반드시 총 운용보수 비율을 잘 따져보고 ETF 투자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국내 상장된 미국 ETF 주식을 연금저축펀드 계좌 혹은 ISA 계좌를 통해 투자를 하시면 절세에 도움이 되는데요. 이들 계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의 글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