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서 근로소득을 받고 있는 직장인 분들은 연말정산 시 조금이라도 세금을 줄이거나 환급액을 늘리기 위해 공제항목들을 찾아보게 될텐데요. 만약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운용하는 분이라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연말정산 시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가지고 계신 분들을 위해 얼마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더 많은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 올해 연말 기준으로 언제까지 납입을 해야 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납입 마감일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
연말정산 시 세금을 줄이거나 환급액을 늘리는 방법으로 공제를 받는 방법이 두 가지가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하나는 소득공제이고 또 하나는 세액공제입니다. 둘의 차이점은 위의 글에서 자세히 소개하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고요. 여기서 설명하는 연금저축펀드 계좌는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입니다.
연금저축펀드 계좌 세액공제 한도 및 금액
총 급여액(종합소득금액) | 공제 납입한도 | 세액공제율 및 공제금액 |
5500만원 이하(4500만원 이하) | 600만원 (IRP 포함 900만원) | 16.5% (148.5만원) |
5500만원 초과(4500만원 초과) | 600만원 (IRP 포함 900만원) | 13.2% (118.8만원) |
직장인의 경우, 총급여액이 기준이 될테고, 개인사업자나 프리랜서의 경우에는 종합소득금액이 기준이 될텐데요. 여기서는 연말정산 기준으로 말씀드리고 있으니 직장인분 기준으로 해서 총급여액이 5500만원 이하이면 연간 납입액의 16.5%를 공제 받을 수 있고, 5500만원 초과일 경우, 13.2%를 공제받을 수 있게 됩니다.
다만, 공제를 받을 수 있는 납입한도는 정해져 있는데요. 연금저축펀드 계좌만 운용 시에는 600만원까지이지만, IRP 계좌를 함께 운용시에는 둘을 합해 900만원까지 납입에 대한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간소득 5500만원 이하라면 600만원까지 납입했을 때 세액공제 되는 금액이 148만 5천원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납입 마감일
만약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운용하고 계신 분이라면 각 금융사별로 12월이 되면 연간 총 납입금액과 납입마감일 알림 문자가 전송되는데요. 저의 경우, 미래에셋으로부터 문자가 왔습니다. 총 납입금액은 8,286,568원이고,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받기 위한 입금기한은 연금저축 12/31(화) 23시까지, IRP는 12/13(화) 16시까지라고 되어 있네요. 따라서 위의 정해진 날짜와 시간 이전까지 납입을 하게 된다면, 이번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참고로 저는 800만원 넘게 납입을 했지만, 공제 받을 수 있는 납입한도는 600만원이므로 600만원의 16.5%인 148.5만원을 공제받을 수 있을 것 같네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만약 아직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개설하지 않았는데, 이번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를 받고 싶다면, 12/31 23시 이전까지 계좌 개설 후 납입을 하면 되는데요. 여러 증권사들 가운데 저의 경험을 토대로 미래에셋 계좌 개설 방법을 소개한 글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