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배터리 방전시 대처 방법 3가지 (보험사 점프선 점프스타터)

자동차 배터리 방전이 자주 일어나는 겨울철입니다. 아무래도 기온이 낮아지면 그만큼 배터리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배터리 방전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데요. 차량을 오래 운전 해본 분이라면, 아마도 겨울철 배터리 방전 경험이 한 번 정도는 있을 것입니다.

자동차-배터리

대부분 블랙박스를 상시전원으로 인가시켜놓은 상태에서 며칠간 운행을 하지 않거나 시동을 걸지 않는다면,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될 확률이 매우 높고요. 꼭 블랙박스가 아니더라도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는 배터리 상태가 좋지 못한 차량이라면 일주일 정도만 시동을 걸지 않아도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 외출을 하기 위해 차량 시동을 걸었는데 막상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꽤 난감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요. 운전 경력이 오래 된 분들은 능숙하게 대처를 하겠지만, 운전 경력이 오래 되지 않은 초보운전자 분들이라면 꽤나 당황스러울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배터리 방전이 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보험사 긴급출동 서비스 연락하기

자동차-견인

시간은 걸리지만, 그래도 가장 맘 편하고 확실하게 대처가 가능한 방법은 바로 자동차 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를 부르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자동차 보험사는 교통사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배터리 방전이나 연료고갈, 차문 잠김 등에 대한 긴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특약 형태로 가입을 따로 해야 했는데, 요즘은 왠만하면 기본 옵션으로 들어가 있는 편이니 자신이 가입되어 있는 보험사로 연락해 긴급서비스 출동 요청을 하시면 됩니다.

  • 삼성화재 : 1588-5114
  • 현대해상 : 1588-5656
  • DB 동부화재 : 1599-0100
  • 메리츠화재 : 1566-7711
  • 교보악사 : 1566-1566
  • 캐롯퍼마일 : 1566-0300
  • 롯데하우머치 : 1588-3344
  • 한화생명 : 1566-8000
  • 하나에듀카 : 1566-3000
  • KB손해보험 : 1544-0114
  • MG손해보험 : 1588-5959

각 보험사별 긴급서비스 출동 전화번호는 위와 같습니다. 보험사 긴급서비스 요청을 접수하면 지역에 따라 다르겠찌만, 대략 20~30분 정도면 도착을 하게 되고, 보험사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점프선과 발전기를 통해 손쉽게 차량 시동을 걸 수 있게 조치를 해주게 됩니다.


이 때 차량 시동이 걸렸다 하더라도 바로 시동을 끄지 마시고 최소 30분 정도는 시동을 켜놓거나 주행을 하면서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켜야 다음 번에도 정상적으로 시동이 걸릴거예요.

비상용 점프선 케이블로 시동 걸기

자동차-배터리-점프선

만약 이러한 자동차 배터리 방전을 대비해 미리 비상용으로 점프선 케이블을 따로 구비해서 다니는 분이라면 준비성이 꽤 철저한 편이라 할 수 있을텐데요. 점프선 케이블이 있으면, 근처에 다른 시동이 걸려있는 차량만 있다면, 쉽게 시동을 걸 수 있게 됩니다. 물론 이 때 주변에 점프선 케이블 연결을 해줄 차량이 있어야 한다는 필수 조건이 있어야 하겠지요. 아마 그리 급한 차량이 아니라면 왠만하면 점프선 연결에 도와줄 것이고, 여의치 않다면 택시나 화물차 운전자 분들에게 요청하시면 도와줄 확률이 높습니다.

점프선 케이블을 이용해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거는 방법은 예전 글에서 한 번 소개를 한 적이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위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휴대용 점프스타터로 시동 걸기

자동차-배터리-점프스타터

요즘엔 점프선 케이블만 구비하고 다니기 보다는 아예 다른 차량이나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 스스로 방전된 배터리에 시동을 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점프스타터 제품들이 많이 출시가 되는 것 같더라고요. 생각보다 크기가 작아 휴대하기도 편하고, 또한 평소에는 보조배터리로도 사용이 가능해서 매우 유용한 아이템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면, 점프스타터에 연결된 점프선 케이블을 차량 배터리 단자에 연결 후 시동을 걸면 시동일 걸리게 되지요. 따라서 자신의 차량 배터리가 조금 오래되어 방전의 위험이 있다 생각된다면, 이런 점프스타터 하나 정도 구비해서 다니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그 외에도 자동차 배터리 관련해서 방전 방지를 위한 여러 팁들과 관리 방법에 대한 내용들도 소개하고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