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배터리 수명이 다 되어가거나 깜빡하고 자동차 라이트 및 블랙박스 등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장치를 끄지 않은 채 오랫동안 주차를 한 상태라면 배터리가 방전이 되어 차량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자동차 보험사를 통해 긴급서비스를 요청하면, 대개는 비용 부담없이 보험사 서비스 차량이 와서 시동을 길리게끔 조치를 해줄텐데요. 대개 단순 배터리 방전이라면 보험사 직원도 점프선 케이블을 연결하여 시동을 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량 트렁크에 비상용으로 점프선 케이블을 두고 다닌다면, 이러한 배터리 방전 같은 비상상황시 굳이 보험사 부르고 시간 낭비팔 필요 없이 근처 차량의 양해만 있으면 바로 시동을 걸 수 있게 되지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비상용 점프선 케이블을 이용해 자동차 배터리 방전 시 어떻게 점프선을 연결해서 시동을 걸 수 있는지 그에 대한 순서와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점프선을 이용해 방전된 차량 시동거는 방법
일단 점프선 케이블을 이용해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배터리가 빵빵한 또다른 자동차 한 대가 더 있어야 하는 조건이 필요합니다. 요즘 워낙 세상이 각박해져서 단순 배터리 점프를 위해 지나가는 차량이나 근처 차량에 양해를 구한다는 것이 쉽지 않아 보이긴 하겠지만, 그래도 아직은 기꺼이 도움을 주는 차량들도 분명 있을겁니다.
- 배터리가 빵빵한 다른 자동차 준비
- 전원을 공급해줄 차량의 배터리 단자 커버를 열어 +(빨간색), -(검은색) 단자에 각각 점프선 연결
-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단자에 역시 +(빨간색), -(검은색) 각각 점프선 연결
- 배터리 전원을 공급해줄 차량의 시동을 걸고, 바로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걸어줌
- 시동이 정상적으로 걸렸다면, 점프선 연결 해제 (점프선 해제 순서는 아래 참고)
- 배터리를 공급한 차량의 +(빨간색) 단자 해제
- 배터리가 방전된 차량의 +(빨간색) 단자 해제
- 배터리를 공급한 차량의 -(검은색) 단자 해제
- 배터리가 방전된 차량의 -(검은색) 단자 해제
점프선 케이블 사용 시 주의할 점
- 배터리 단자 연결은 반드시 +는 +끼리, -는 -끼리 연결해야 함
- 승용차(12V)-대형차(24V)처럼 배터리 전압이 각각 다를 경우엔 점프 불가
- 방전된 차량의 시동이 걸린 후에는 최소 30분 정도 시동을 켠 채로 주행하면서 충전해줘야 함
- 추후에도 배터리 방전이 자주 발생한다면, 배터리 교체 요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