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철에는 자동차 배터리 같은 전기 계통 효율이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인지 차량 배터리 방전 건수가 제일 많이 일어나는 계절이기도 한데요.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배터리 수명은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겨울철 차량 배터리 방전 원인과 방전 예방을 위한 배터리 관리 요령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방전 원인
자동차 배터리를 포함해서 리튬 이온으로 만들어진 대부분의 배터리는 그 특성상 온도가 낮아지는 겨울철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데요. 아마도 스마트폰을 영하의 추운 겨울철 야외에서 사용하다 보면, 금방 닳는다는 느낌이 드는 것으로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배터리 역시 항상 야외에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배터리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지요.
전력 사용량이 많은 부품들의 사용
예전에는 차량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부품이 그리 많지 않았지만, 지금은 블랙박스라든지 전기를 사용하는 갖가지 실내 튜닝용품들이 많아져 배터리 사용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사용을 하는 건 큰 문제가 없지만,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ACC) 전기장치를 오랫동안 사용하면 특히 겨울철에는 방전되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됩니다. 특히 최근 배터리 방전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가 바로 블랙박스이기도 하지요.
전해질 기능 저하
배터리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은 전해질로 부르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특히 이 전해질은 외부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는 자연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장시간 미운행 시 자연방전
대부분의 배터리가 그러하듯 자동차 배터리 역시 사용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랫동안 방치하면 자연방전이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장기간 운행을 하지 않고 놔뒀을 경우 자연방전으로 인해 서서히 배터리 효율이 떨어져 시동이 걸리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지요.
자동차 배터리 수명은?
그럼 자동차 배터리 수명은 어느 정도 될까요? 새 배터리로 교환을 해서 운행을 한 차량이라면, 방전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대략 3~5년 정도는 충분하다고 보지만, 만약 몇 번 방전이 된 경험이 있다면, 배터리 수명이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3년 정도 지나면 점검을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수명 및 상태 확인 방법
배터리 수명 및 상태 확인은 셀프로 육안으로도 어느 정도 가능한데요. 본닛을 열어 배터리 인디케이터 표시창 색깔을 확인하면 됩니다. 표시창 색깔이 녹색이면 정상, 검은색이면 충전이 필요한 상황이고, 흰색인 경우는 당장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관리 및 방전 예방
야외주차장 보다는 지하주차장 이용
겨울철 차량을 오랫동안 세워 둬야 하는 장기주차를 할 경우에는 온도가 낮은 야외주차장 보다는 보다 따뜻한 실내나 지하주차장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가피하게 야외주차장에 세워둘 수밖에 없다면, 그나마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주차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장기 주차 시에는 블랙박스는 OFF
아무래도 주차테러나 문콕 방지를 위해 시동이 꺼진 후에도 계속 블랙박스를 작동시키는 분들이 많은데, 3일 이상 장기 주차 시에는 그냥 꺼두시는 것을 권해 드리고, 그래도 계속 켜놔야 하는 분들이라면, 일정 전압이 내려가면 블랙박스 전원이 자동으로 OFF 되는 설정을 사용하거나 1~2일에 한번씩 시동을 걸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장기 미운행 시 한 번씩 시동 걸기
마찬가지로 장기 미운행 시에는 배터리 자연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가끔씩 시동을 걸어 15분 정도 시동을 켜 두는 것이 좋습니다. 추운 겨울철에는 최소 1주일에 한 번 정도 시동을 걸어주세요.
배터리 단자 주변 이물질 청소하기
자동차 본닛을 열어보면, 배터리 단자 주변에 하얀 이물질 가루가 묻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들이 배터리 성능 저하에 영향을 줄 수도 있으니 배터리 단자 주변 하얀 가루들은 수시로 털어내고 깨끗이 관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동부화재 DB손해보험 SOS 긴급출동서비스 전화번호
만약 피치못할 상황에서 배터리가 방전이 되어 차량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보험사 긴급서비스 출동을 불러야 할텐데요. 각 보험사별 긴급서비스 관련된 내용은 위의 글들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