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부품 중 안전과 직결되는 부품이라 하면 바로 브레이크라 할 수 있을텐데요. 차량이 움직일 때 내가 원하는 순간 언제든지 멈출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로 브레이크의 역할입니다. 예전에는 단순 브레이킹 기능만 탑재되어 있었다면, 최근 차량들은 브레이크에 ABS 시스템이 함께 장착되어 나오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브레이크 ABS의 역할은 무엇인지, 특히 차량 운전 중 계기판에 ABS 경고등이 뜨게 되었을 때는 어떤 원인과 대처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ABS 역할은?
ABS의 약자는 Anti-Lock Braking System 인데요. 뜻을 그대로 풀이해 보면, ‘브레이크 잠김 방지 장치’라 할 수 있습니다. 고속주행을 하다가 갑자기 급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바퀴가 갑자기 멈추면서 차량이 쏠리게 되고 브레이크가 잠기게 되어 조향력과 제동력을 상실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해서 차량의 제동력을 높여주는 시스템입니다. 예전에는 옵션 사항으로 넣고 뺄 수 있었지만, 지금은 대부분 기본 의무 옵션으로 포함되어 있어 왠만한 차량에는 모두 장착되어 있습니다.
자동차 ABS 경고등 점등 원인은?
차량 운전석 계기판에는 각종 차량 시스템과 부품들의 상황을 알려주는 경고등 시스템이 잘 되어 있는데요. ABS 역시 이상이 생기게 되면, 노란색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사실 노란색 경고등은 당장 운전자에게 위협이 되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방치하면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얼른 해결하는 것이 좋은데요. ABS 경고등 점등의 원인은 대부분 아래와 같습니다.
- ABS 시스템 모듈 자체의 고장
- 브레이크 오일 부족
- 휠스피드 센서 및 전자제어장치의 이상
- 타이어 공기압이나 마모도가 비정상일 때
자동차 ABS 경고등은 대부분 위의 원인으로 인해 켜지게 되지만, 시동을 건 직후, 또는 간혹 배터리를 교체하고 난 후 점등이 되거나 눈길 혹은 빗길에서 점등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지극히 정상이며, 경고등이 바로 사라지게 되는데, 만약 경고드이 사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켜져 있으면 정비 및 점검을 받아봐야 합니다.
자동차 ABS 경고등 점등 시 대처법
ABS 경고등이 꺼지지 않고, 계속 켜진 상태에서 일단 정상적인 운행이 가능한 상태라면, 먼저 가까운 정비소를 방문하여 점검을 받아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노란색 경고등이라 해서 무시하거나 그냥 조금 더 타도 되겠지 하면 언젠가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니 꼭 점검을 받아보시고요. 만약 경고등이 켜지고 브레이크가 뭔가 말을 잘 듣지 않거나 실제 브레이크 계통에 뭔가 문제가 생긴 것을 감지했다면, 더이상 운행하지 말고 안전한 갓길에 정차 후 보험사를 통해 견인차를 부르거나 해서 정비소로 향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차량 주행 중 혹시나 계기판에 EPB 경고등이 뜨는 분들이라면 위의 글을 한 번 참고해 보세요. 실제 제가 직접 겪은 상황이기도 한데, 원인 및 대처 방법이 잘 소개되어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