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운행하다 보면, 계기판에 평소 보지 못했던 노란색 엔진 모양의 경고등이 뜰 때가 있습니다. 이는 차량의 엔진 계통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뜨게 되는데, 점등색의 색깔은 노란색이 뜰 때도 있지만, 간혹 아주 심각한 문제 발생의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뜨기도 합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경고등 색깔의 의미
엔진오일 경고등 색깔이 빨간색일 때에는 자동차 주행 상태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는 의미이므로 이 때에는 주행을 더이상 하지 말고, 즉시 갓길이나 안전한 곳에 정차 후 점검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 시에는 보험사를 통해 정비를 받거나 아니면 견인까지 해야 할 상황이 올 수도 있지요.
반면, 노란색 경고등일 경우는 지금 당장 주행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이 역시 오랜 시간 경고등을 무시하고 주행을 하면 나중엔 더 큰 문제로 발생할 수 있으니 빠른 시일 내에 정비소를 방문하여 점검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경고등 점등 원인은?
엔진오일의 부족 혹은 누유
엔진오일 경고등이 점등되는 원인은 꽤 다양한 편입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바로 엔진오일 누유로 인한 오일양의 부족인데요. 오일양이 부족하면 경고등이 뜨게 됩니다.
엔진오일 펌프의 압력이 약해졌을 때
또한 엔진오일의 양은 정상이지만, 오일을 엔진 각 계통에 뿌려주는 오일펌프가 고장이 났거나 압력이 약해졌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오일이 정상적으로 공급이 되지 않음으로 인해 경고등이 뜰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 센서 및 압력 스위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오일양과 펌프 모두 정상인데도 경고등이 떴을 대에는 스위치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니 이 역시 한 번 점검을 받아봐야 할 것입니다. 이 외에도 엔진오일 경고등이 점등되는 이유는 꽤 다양하기 때문에 경고등이 뜬다면 이유를 막론하고 가까운 정비소를 방문하여 점검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점검 방법
일단 엔진오일 경고등이 뜬다면, 정비소를 방문하기 전, 본닛을 열어 자가 점검을 먼저 해보는 방법도 있는데요. 엔진오일 자가 점검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평탄한 곳에 주차 후 시동을 끄고 오일 팬의 유면이 안정될 때까지 5분 정도 대기
- 엔진오일 레벨 게이지를 뽑은 뒤, 게이지에 묻은 오일의 색과 점도 등의 상태 확인
- 레벨 게이지를 다시 꽂은 후, 뽑아서 묻어 나온 오일 양을 체크
엔진오일 레벨 게이지를 활용해 간단히 자가 점검을 해볼 수도 있는데, 이 때 오일의 점도가 너무 끈적거리거나 할 땐 문제가 있는 것이고 색깔 역시 탁한 색 보다는 투명한 색에 가까워야 정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엔진오일 양을 체크할 때에는 게이지에 표시된 “L”과 “F” 사이에 있어야 적정량이라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자동차 차량 에어컨 필터 교체 주기 공임 비용 및 셀프 장착 방법
✅ 겨울철 자동차 차량 실내 습기 김서림 성에 제거 방법
✅ 자동차 배터리 수명 및 방전 예방 위한 겨울철 차량 배터리 관리 요령
✅ 자동차 엔진 떨림 부조 현상 원인 및 대처 해결 방법
✅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라이닝 교체시기 주기 및 교체비용
✅ 자동차 타이어 펑크 났을 때 대처 방법 및 보험 부르기
그 외에 자동차 소모품 및 정비를 위한 품목, 관련된 기본 정비 사항에 대한 내용의 글도 소개되어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