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오일 누유 원인 및 색깔별 증상 자가 진단 방법

휘발유나 경유 등 내연기관 자동차를 오랜 기간 타다 보면, 어쩔 수없이 오일 누유 현상을 한 번씩 경험하게 됩니다. 간혹 주차장을 보면, 비어있는 주차칸 바닥에 기름진 오일 자국이 스며든 모습도 자주 목격할 수 있는데요. 모두 자동차 오일 누유의 흔적이지요.

자동차-엔진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자동차 오일 누유의 원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누유되는 오일의 색깔에 따라 그 원인과 증상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자가 진단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자동차 오일 누유 색깔별 증상 및 자가 진단 방법

자동차 엔진룸 쪽에서 새어 나오는 오일은 오일의 종류에 따라 색깔이 다릅니다. 따라서 오일의 색깔에 따라 어떤 오일이 누유가 되는지 예측해 볼 수가 있는데요. 색상별 오일 누유의 원인 및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검은색 또는 갈색

  • 원인 : 엔진오일 누유 의심
  • 자가진단 : 시동을 끈 상태에서 엔진오일 게이지를 꺼내 끝부분을 깨끗이 닦은 다음, 오일통에 넣었다가 빼줍니다. L(Low) 이하이면 엔진오일 부족이 의심되며, 엔진오일 보충 후 다시 오일 게이지로 체크했을 때 L 이하로 표시되면 엔진오일 누유 가능성이 큼

진한 갈색

  • 원인 : 파워스티어링 오일 누유 의심 (유압식)
  • 자가진단 : 평소보다 핸들이 무겁거나 뻑뻑하게 돌아간다는 느낌이 들면, 평지에 차를 세우고 충분한 예열을 거친 후, 엔진룸 내의 파워스티어링 오일탱크의 오일양을 확인, MAX와 MIN 사이에 있어야 정상이며, 부족한 경우 오일 보충이 필요함

붉은색

  • 원인 : 미션오일 누유 의심
  • 자가진단 : 최근 차량은 따로 점검할 수 있는 오일게이지가 없어 확인이 되지 않으니 누유가 심각한 경우 미션 자체를 교환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정비소 가서 점검 요망

초록색 (또는 분홍색)

  • 원인 : 냉각수 누유(누수) 의심
  • 자가진단 : 냉각수 부동액의 색상이 기존 색이면서 양만 줄어들었을 경우, 보충만 해주면 되고, 색상이 변질되었거나 이물질 발견 시 냉각수 전체 교체 필요함

노란색

  • 원인 : 브레이크 오일 누유 의심
  • 자가진단 : 브레이크 오일 탱크의 오일양이 MAX와 MIN 사이에 있는지 확인 후, MIN 이하라면 브레이크 패드 마모 여부 확인 후, 마모가 되지 않았는데도 오일이 줄었다면, 브레이크 오일 누유가 의심되므로 정비소 방문 필요

자동차 엔진오일 누유의 원인

자동차 오일 누유라 하면, 대개는 엔진오일의 누유가 가장 많은 편인데요. 엔진오일 누유의 원인은 대부분 가스킷 손상 및 오일씰의 열화, 또는 오일필터 결합 불량에 의해 누유가 될 수 있습니다.

  • 가스킷 : 가스킷은 엔진 부품 사이를 밀봉해 주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며, 장기간 사용 시 열과 압력에 의해 경화가 일어나 누유의 원인이 됨
  • 오일씰 : 역시 엔진오일이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밀봉해 주는 역할을 하지만, 장기간 사용 시 경화가 되어 누유의 원인이 됨
  • 오일필터 결합 불량 : 엔진오일 교환 시 오일필터 조립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불량 필터를 사용하면 오일 누유 가능성이 큼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