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개 일반적인 개인이라면, 신차로 자동차를 소유하고자 할 때 현금 또는 할부를 통해 차량 비용 전액을 부담하여 구입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만, 또다른 방법으로 자동차 장기렌트 혹은 리스로 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특히 개인사업자라면 비용 처리 관련 세제 혜택이 주어지기 때문에 이런 방식으로 차량을 소유하는 분들도 많이 계신데요.

다만, 자동차 장기렌트와 리스를 놓고 봤을 때, 얼핏 비슷한 방식이 아닐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둘의 방식은 엄연한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장기렌트 혹은 리스의 차이점과 함께 각각의 장단점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장기렌트 방식
오랜 전통(?)의 리스 보다는 비교적 뒤늦게 나온 방식으로 자동차 렌터카 업체에서 신차 차량을 구매하여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말 그대로 렌트를 해주는 방식인데요. 부동산 월세를 내듯이 자동차 장기렌트 역시 매월 렌트비용을 지불하며 자동차를 빌려타는 방식입니다.
장기렌트의 장점
- 매월 렌트비만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취등록세 등 차량 초기 구입비용 필요 없음
- 보험료 및 각종 세금 역시 렌트업체에서 부담 (보험료 비싼 운전자들에게 유리)
- 사고 발생 시 보험처리를 해도 보험료 할증에 대한 신경을 안써도 됨
- 차량관리 및 정기검사 비용 역시 렌트업체에서 부담
- 렌트비 및 부가세 비용처리 가능
- 렌트에 따른 개인 신용도에는 영향이 없음
- 주행거리 제약 없음
장기렌트의 단점
- 하, 허, 호 번호판 장착
- 보험료 부담은 없지만, 보험 경력이 인정되지 않아 추후 개인소유 차량 구입시 비싼 보험료
- 화물차는 장기렌트 불가능
- 중도 해약 시 위약금 발생
자동차 리스 방식
자동차 리스는 리스 회사가 자동차를 구매하여 계약자에게 차량을 제공하고 그에 대한 사용료를 받는 방식인데요. 자동차 리스 방식에는 운용리스와 금융리스 두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운용리스는, 장기렌트와 조금 유사한 방식이기도 한데요. 리스회사가 차량을 구매하여 계약자가 일정 기간동안 빌려서 타는 방식으로 차량에 잔존가치를 설정할 수 있어서 잔존가치를 제외하고 운영하는 년수에 따라 리스비용이 책정됩니다. 계약 만기 시에는 잔존가치를 납부하면 해당차량을 인수할 수도 있고, 또는 그냥 반납도 가능한 방식이예요.
금융리스는, 신차 구매 시 할부로 구입하는 유형과 유사하다고 보면 되는데요. 리스회사가 아예 신차 구입 대금을 빌려주는 방식이지만, 개인의 신차 할부 구매와 다른 점은 차량 소유가 계약자가 아닌 리스회사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계약 만기 시에는 차량 반납 옵션이 있는 운용리스와는 달리 금융리스는 차량 반납이 되지 않아 무조건 인수를 하거나 또는 리스계약을 재실행 해야 합니다.
리스의 장점
- 일반차량 번호판 장착 가능
- 취등록세 등 차량 초기구입비용 필요 없음
- 운용리스의 경우, 리스 경비에 대한 비용 처리 가능
- 금융리스의 경우, 리스 경비에 대한 비용 처리는 불가능하지만, 이자비용은 가능
- 운전자 개인의 보험경력 인정되어 추후 개인차량 소유 시 보험료 할인 가능
리스의 단점
- 주행거리 무제한 설정 불가 (대개 연간 3-4만 km 약정)
- 보험료는 개인이 부담하며, 사고 발생 시 개인이 직접 처리
- 리스의 경우, 채무로 설정이 되어 개인 신용에 영향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