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창문 안내려감 안올라감 안닫힘 고장 증상 원인은?

중고차를 구입했거나 차량을 오랫동안 타다 보면 간혹 창문이 잘 안내려가거나 안올라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요즘 차량의 창문은 모두 버튼식으로 모터를 통해 창문이 올라가고 내려가는 방식인데요. 그래서 다양한 자동차 창문 고장 증상의 원인이 있습니다.

자동차-창문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자동차 창문이 안내려감 안올라감 등의 고장 증상에 대한 원인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일단 원인을 알아야지 해당 원인을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윈도우 모터 및 레귤레이터 고장일 때

앞서 언급했듯이 최근 출시되는 차량들은 앞좌석 뒷좌석 창문 모두 모터를 통해 작동을 하게 되어 있는데요. 이 모터는 전기로 움직이는 장치이고 아무래도 기계적 소모품이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고장이 날 확률이 높습니다. 창문 스위치를 누르는데 아무런 반응이 없다면 바로 윈도우 모터 또는 레귤레이터 고장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 슬라이딩 레일 유격 발생 및 뻑뻑할 때

반면 창문이 작동이 되더라도 아주 천천히 힘겹게 작동이 되거나 평소 들리지 않던 소음이 발생한다면, 모터 이상 보다는 다른 쪽을 살펴봐야 할텐데요. 이 때에는 차량 윈도우 슬라이딩 레일 쪽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혹은 레일 쪽의 고무가 경화되지는 않았는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창문 내리고 올리는 것이 조금 뻑뻑하다고 느껴지거나 끽~끽~ 거리는 소음이 발생한다면, 일단, WD-40 같은 윤활제를 한 번 사용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스위치 버튼 고장 및 휴즈가 나갔을 때

자동차-창문-스위치

보통 차량 운전석 도어 쪽 팔걸이 부분에 보면 윈도우 스위치 버튼이 있습니다. 이 스위치 버튼이 전기적 결함으로 인한 문제로 창문이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요. 간혹 전기배선 문제로 윈도우 모터 쪽과 연결된 휴즈가 나가서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이 부분도 한 번 살펴보심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배터리 전압이 낮을 때

자동차 배터리가 아예 방전이 되었다면, 당연히 창문 역시 작동하지 않는 것은 당연하고요. 배터리가 완전 방전이 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지 않는다면, 역시 윈도우 모터를 작동시킬 에너지가 부족함으로 인해 창문이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일단, 시동이 걸린 상태라면 일단 배터리 전압 문제일 경우는 드물고, 만약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동차 전원이 ACC 인 상태에서는 정상적으로 창문이 작동해야 하는데, 작동을 하지 않는다면, 이 때 배터리 전압을 한 번 의심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