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새로 구입하거나 명의 이전할 때 취등록세 납부와 함께 공채 매입을 해야 한다는 내용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자동차 채권은 5년이 지난 뒤 만기 시 환급을 받을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이란?
차량 소유자가 차량등록사업소에서 신차 차량등록을 할 때 또는 중고차 이전 신청을 할 때 자동차 채권을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합니다. 자동차 채권은 대개 해당 지자체의 지역개발 채권으로 매입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개발 채권으로 발행된 돈으로 말 그대로 지역 개발 및 인프라 확충에 돈을 쓰게 되고 5년 뒤 이자를 붙여 환급을 해주게 됩니다. 이 환급금이 바로 자동차 채권 환급금이예요.
하지만, 올해 2022년 3월 이전 까지만 해도 자동차 채권 환급금은 5년이 지난 뒤 본인이 잊지 않고 직접 은행을 방문해서 신청해야지만 받을 수 있었는데, 올해 3월 부터는 온라인에서 직접 조회 및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제도가 바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예전에는 까먹고 환급받지 못하는 금액이 많았는데, 이제 신규 매입 채권의 경우, 만기일이 도래하면, 채권자에게 알림을 줘서 환급 받을 수 있도록 개선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도 이전에 매입한 채권은 여전히 직접 조회를 하고 신청해야 합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 지역별 취급 은행
자동차 채권은 앞서 설명 드렸듯 지자체별로 운용하는 금액이어서 각 지자체별로 환급금을 조회 및 신청할 수 있는 은행들이 아래와 같이 모두 제각각입니다.
- 서울, 인천 : 신한은행
-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창원 : NH 농협
- 대전, 세종, : 하나은행
- 대구 : 대구은행
- 부산 : 부산은행
- 광주 : 광주은행
- 전북 : 전북은행
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 (부산은행)
위에서 알려드린 지역 및 은행은 자신의 현재 거주지가 아니라 자동차 등록 주소지 기준 해당 은행에서 조회를 해야 합니다. 저의 경우, 부산에서 차량 등록을 했으므로 부산은행에서 조회를 해볼텐데요.
BNK 부산은행 모바일 앱으로 접속한 다음, 상단 삼선 메뉴로 들어가서 ‘뱅킹-공과금-만기경과채권상환’ 항목으로 들어가서 조회를 하면, 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가 가능합니다. 조회되는 환급금이 있다면, 신청할 환급금을 선택 후 지급 신청을 하면 되겠지요.
환급금 조회가 되지 않을 경우
막상 조회를 해봤는데, 자동차 채권 환급금이 조회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자동차 구매 직후 채권을 팔았을 경우 (즉시 매도) 그럴 수 있는데요.
- 공채 매입 : 5년 후 환급금을 받을 것을 기약하며 매입하는 것
- 공채 할인 (즉시 매도) : 채권 매입 즉시 할인된 금액으로 다시 판매하는 것
자동차를 구입할 때 채권 매입 가격이 부담스러울 때 할인된 금액으로 즉시 매도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때에는 이미 할인된 금액으로 다시 받았기 때문에 환급금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기도 하니 자신이 처음 차량 등록할 때 즉시 매도를 했는지 확인이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