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타이밍벨트 교체주기 수명 및 교환 공임 비용

자동차는 수없이 많은 부품들이 조립이 되어 완성차로서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여러 부품들 가운데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부품이 없는데요. 그 중에서도 자동차 엔진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다양한 벨트들이 있지만, 특히 타이밍벨트 역할이 꽤 중요한 편입니다.

자동차-타이밍벨트

다른 벨트들도 마찬가지겠지만, 자동차 타이밍벨트 역시 소모품이기에 적당한 시점이 되면, 반드시 교체를 해줘야 하는 부품이기에 이번 글에서는 타이밍벨트 교체주기와 함께 실제 교체를 하게 될 때 공임 비용은 어느 정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타이밍벨트의 역할

타이밍벨트는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축과 캠축에 장착된 기어를 서로 연결해주고, 그 상태에서 엔진이 작동할 때 실린더 밸브의 열고 닫힘의 시간.. 즉 타이밍을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타이밍벨트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는데요. 쉽게 말해 엔진의 행정과정에서 실린더의 흡기 밸브과 배기 밸브가 작동하는 타이밍을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되지요.


자동차 타이밍벨트가 손상되거나 끊어지게 되면?

타이밍벨트의 재질은 오래 전부터 고무로 제작이 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체인 형태의 금속 재질로 구성된 경우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체인 형태로 만들면 내구성이 더 좋아지겠지요. 다만, 타이밍체인의 경우 내구성은 좋지만, 소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자동차-엔진-실린더

운행 중 타이밍벨트가 끊어지거나 손상이 된다면, 즉시 엔진 움직임이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바로 느낄 수 있는데요. 엔진 쪽에서 소음이 많이 나게 되며, 심할 경우 엔진 실린더 헤드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럴 경우 타이밍벨트 교체 비용 보다 실린더 헤드 수리 비용이 더 많이 드는 상황이 생기니 타이밍벨트는 제 때 제 때 교체주기가 되면 바로 교체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타이밍벨트 교체주기

타이밍벨트 교체주기는 주행환경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겠지만, 일반승용차 기준으로 대략 8만~10만 km 정도 되는 시점에 교체를 하면 되는데요. 주행환경이 가혹하다 생각되면, 7-8만 정도에 그리고 정속주행과 안전주행 위주로 한다면, 9-10만 정도에 교체를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고장력 타이밍벨트가 장착된 차량이라면, 12-15만 km 정도에 교체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또한 벨트가 아닌 타이밍체인 장착 차량의 경우, 끊어지거나 마모되는 경우는 드문 관계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체인의 경우에도 오래 사용을 하게 되면 소음과 진동이 심해지는 상황이 생기기도 하니 대략 25-30만 km 정도에 교체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25만 이상 타기 전에 아마 다들 다른 차나 새차로 바꾸실 듯하네요. 만약 25만 km 이상 주행한 중고차 구입 시에는 타이밍벨트 혹은 체인 교체 여부를 잘 따져봐야 할 것 같습니다.

자동차 타이밍벨트 교체 비용

타이밍벨트 교체 비용은 꽤 비싼 편입니다. 단순히 벨트 부품 자체 비용은 그리 비싸지 않습니다만, 벨트 교체를 위한 부품 해체 및 조립 과정이 까다로운 작업이지요. 그래서 공임이 많이 들어가는 작업인데요. 거기에 타이밍벨트 교체 시 서모스탯 밸브, 워터펌프, 텐션베어링 및 아이들베어링 등 관련 부품들을 모두 함께 교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드는 편입니다.

대략 일반 국산 중형 승용차 기준으로 40만원 전후 정도 생각하면 되고요. 대형차 및 외제차일수록 비용은 더 비싸지며, 소형 및 준중형은 조금 더 저렴한 편입니다.

타이밍벨트 교체 작업은 꽤 난이도가 있어 숙련된 정비사를 통해 작업을 맡기는 것이 좋고요. 일반 동네 소규모 카센타 보다는 자동차 메이커 직영센터나 해당 자동차 메이커 전문 정비소에서 교체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개인적으로 저는 동네 카센타에 맡겼다가 엔진 헤드까지 날려먹어서 비용이 추가로 들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