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가장 안전하면서도 목돈마련 및 이자수익을 낼 수 있는 수단 중의 하나가 바로 은행권의 정기예금 또는 정기적금이라 생각할 것입니다. 물론 펀드나 주식 같은 투자상품 보다는 금리가 한참 낮은 편이긴 하지만, 무엇보다 원금보장 및 예금자보호가 된다는 안정성이 있지요.
아직 금융상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신 분들은 은행권에서 취급하는 정기예금 또는 정기적금의 정확한 차이점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이번 글에서는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에 대한 차이점과 함께 금리 이자계산 방식에 대한 비교를 해볼까 합니다.
정기예금
정기예금이란?
정기예금이란? 일정 금액을 정해진 가입기간 동안 예치를 해놓고 이후 만기가 되었을 때 원금과 함께 약속된 이자를 더해 보장을 받는 상품입니다.
정기예금 이자계산 방식
- 이자 지급시기 : 만기일시 지급 (또는 중도해지 요청시)
- 이자금액 : 신규일로부터 만기일 전일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약정 이율로 계산한 금액
- 이자금액 = 신규 예치금액 x 약정이율 x 약정개월수 ÷ 12
정기예금 이자계산 예시
예를 들어 1000만원을 1년(12개월) 4% 의 금리로 정기예금 가입을 했을 경우…
이자금액은 1000만원 x 0.04 x 12 ÷ 12 = 40만원이 되고요. 비과세 상품이 아닌 이상 이자세 15.4%를 원천징수 하고 나면, 실제 이자금액은 338,400원이 됩니다. 따라서 원금 1000만원을 포함해 총 만기 수령금액은 10,338,400원이 되지요.
정기적금
정기적금이란?
정기적금이란? 목돈마련을 위해 정해진 기간 동안 상품에 따라 일정금액 또는 자유금액을 여러 번에 걸쳐 납입하여 만기가 되었을 때 역시 납입 원금과 함께 약속된 이자를 더해 보장을 받는 상품입니다.
정기적금 이자계산 방식
- 이자 지급시기 : 만기일시 지급 (또는 중도해지 요청시)
- 이자금액 : 정액정립 또는 자유적립에 따라 상이함
- 정액적립분 이자 = [월저축금 x 계약월수 x (계약월수+1)/2] x (연이율/12)
- 자유적립분 이자 : 입금금액 x 약정이율 x 일수(입금일~만기일 전일) / 365
정기적금 이자계산 예시
예를 들어 매월 100만원식 1년(12개월) 동안 4%의 약정금리로 적금을 넣었을 경우…
매월 100만원씩 정액적립이라 가정하면, (100만원 x 12 x 6.5) x (0.04/12) = 26만원이 계산되며, 마찬가지로 이자세 15.4%를 떼고 나면, 대략 219,960원 정도 계산이 됩니다. 같은 금액과 같은 금리를 놓고 봤을 때 정기예금 보다는 이자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이는 정기적금의 경우, 첫달의 경우에는 연 금리가 100% 계산되어 붙지만, 이후 개월 수가 추가될 수록, 개월 수가 쪼개진만큼 이자가 붙기 때문에 이자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만기 직전 달의 100만원 금액에 대해서는 12개월이 아닌 1개월 만큼의 이자만 계산되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