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LTV 뜻과 의미 및 네이버 계산기 계산 방법

최근 미국 금리가 4년 만에 인하가 되었고, 이제 우리나라 금리 역시 인하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시기입니다. 금리 인하가 되면, 낮아진 금리로 인해 가장 먼저 부동산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비율이 높아지게 될텐데요.

아파트

다만, 주택담보대출을 받는다 하더라도 기본적인 내용들을 미리 알아야 할텐데, 그 중에서 가장 많이 듣는 단어 중의 하나가 바로 LTV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주담대를 처음 받아보거나 관련 용어들을 살펴볼 때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LTV의 뜻과 의미, 그리고 네이버 계산기를 통한 간편한 계산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담보대출 LTV 뜻과 의미

LTV는 Loan to Value의 약자로 쉽게 말하면 부동산 담보가치에 대한 대출 가능 금액의 비율을 뜻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주택의 가치, 즉 시세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가능 비율을 뜻하는 의미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지역별 LTV 기준 비율 (2023년 이후 기준)

주택담보대출-LTV

우리나라에서는 주택담보대출 LTV 기준이 주택 가격 및 주택 실소유량, 그리고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 지역이냐 아니냐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무주택 서민 실수요자가 9억 이하의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시에는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역이라면 50%까지, 조정대상지역이라면 60%, 그 외 지역은 70%까지 LTV가 적용되어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간혹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의 경우에는 6억까지 최대 80%까지 LTV 적용을 받을 수 있기도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택가격 기준은?

LTV의 뜻은 이제 알았고, 그러면 LTV 계산의 기준이 되는 주택가격은 어떤 기준으로 산정이 되는지에 대해서도 궁금할텐데요. 일반적으로 KB부동산시세, 감정가, 실거래가 이 세가지 가격 중 가장 낮은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이 됩니다. 예를 들어 한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KB 부동산 시세는 5억, 감정가는 5억 2천, 실거래가는 6억이라 한다면, 실제 LTV 70% 기준이 될 때 LTV는 5억 x 70% = 3억 5천만원이 된다는 얘기이지요.

LVT 네이버 계산기 계산 방법

네이버-LTV-계산기

네이버에서는 LTV 계산을 비교적 쉽고 간단하게 해볼 수 있도록 LTV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위의 네이버 LTV 계산기 사이트로 들어가면 대출목적 및 보유주택수, 담보대출 대상 주택 지역과 주택 시세 등의 기본정보를 입력한 뒤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LTV를 계산해주게 되니 필요하신 분들은 이용해 보신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