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로 접어드는 가운데 어쩔 수없이 급격히 늘어나는 질환 중 하나가 바로 치매입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조기에 치매 증상을 발견 및 진단을 하고 또한 도움을 주기 위해 치매 검사 비용을 지원해주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치매 검사 종류와 방법 등을 알아보고, 보건소 및 치매안심센터, 병원 등에서 검사를 받았을 때 검사 비용은 얼마나 드는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치매 검사 종류 및 방법
치매안심센터를 통한 치매 검사 종류 및 단계는 아래와 같이 총 3단계 검사로 시행이 되고 있습니다.
- 선별검사 : 사람의 인지 기능 저하여부를 검사
- 진단검사 : 1단계 선별검사에서 인지저하로 분류가 되었다면, 보다 구체적인 검사를 받은 후, 전문의를 통해 치매를 진단하게 되는 검사
- 감별검사 : 2단계 진단검사에서 치매로 진단을 받았다면, 혈액검사 또는 뇌 영상 촬영을 통해 치매의 원인을 분석하는 검사 (MRI 또는 CT)
치매 검사 받는 곳
위의 3단계 치매 검사는 각각 단계별로 전국 각 지역 보건소에 위치한 치매안심센터 및 병원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치매 검사 비용
아마도 가장 궁금한 부분이 바로 치매 검사 비용이라 생각되는데요. 예전에는 치매 검사 비용 자체만으로도 굉장히 부담되는 금액이어서 검사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지난 2019년 7월 부터 치매국가책임제가 시행되면서 일정 나이가 지나면 검사 비용을 지원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1단계 선별검사 비용
-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 만 60세 이상 대상 무료 검사 시행
2단계 진단검사 비용
-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 무료 검사
- 병원 : CERAD-K(정신과) 검사 65,000원, SNSBII(신경과) 검사 15만원
3단계 감별검사 비용
- 병원 : 혈액검사 및 CT 촬영 5~6만원, MRI 검사 14-33만원
검사 과정 중 알아둬야 할 것들
- 1단계 선별검사가 정상이라 하더라도 100% 치매가 아닌 것은 아니니 매년 정기적으로 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2단계 진단검사에서 치매 진단을 받았다 하더라도 3단계 감별검사에서 보다 정확한 치매 진단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니 꼭 3단계 정밀검진까지 받아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