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배당성장주 ETF로 SCHD가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고, 국내 투자자들에게도 소개가 많이 되면서 미국주식에 직투를 하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SCHD의 경우, 미국 ETF 이기 때문에 절세를 위한 국내 주식계좌인 연금저축펀드 계좌나 ISA 계좌에서는 투자가 불가능 하다는 아쉬운 점이 있는데요.

그래서 미국 SCHD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한국판 SCHD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바로 SOL, ACE, TIGER 세 곳의 자산운용사에 운용하는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이며, 미국 SCHD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기 때문에 SCHD에 투자하는 효과를 그대로 볼 수 있고요. 무엇보다 연금저축펀드 계좌와 ISA 계좌에서도 투자를 할 수 있어 절세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및 ISA 계좌 절세 효과
✅ 개인 연금저축펀드란? 계좌 개설 세액공제 장점 및 단점
✅ 중개형 ISA 계좌 개설 추천 이유 및 장점 단점 비교
연금저축펀드와 ISA 계좌를 통해 투자를 하게 되었을 때 세액공제 및 절세 효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고요.
한국판 SCHD 투자종목 선택 비교는?
- SOL 미국배당 다우존스 : 신한자산운용
- ACE 미국배당 다우존스 : 한국투자신탁
- TIGER 미국배당 다우존스 : 미래에셋 자산운용
SOL이나 ACE, TIGER 세 곳 모두 어차피 동일한 미국의 SCHD 지수, 더 나아가 ‘다우존스 US Dividend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이기 때문에 주가 변동율은 거의 동일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각 자산운용사별로 운용보수와 시가총액 및 분배금(배당금) 지급 기준 등을 따져서 선택하면 되는데요.
2023. 7월 기준 | SOL 미국배당 다우존스 | ACE 미국배당 다우존스 | TIGER 미국배당 다우존스 |
자산운용사 | 신한자산운용 | 한국투자신탁 | 미래에셋 자산운용 |
최초 상장일 | 2022년 11월 15일 | 2021년 10월 21일 | 2023년 6월 20일 |
시가 총액 | 589,077주 | 479,536주 | 553,166주 |
운용보수 | 0.03% | 0.01% | 0.01% |
총 수수료 | 0.36% | 0.265% | – |
분배금 지급 | 매월 | 매월 (최근 변경) | 매월 |
최초 상장일
상장 순으로 보면, ACE, SOL, TIGER 순으로 되어 있지만, 최근 배당성장 ETF로 워낙 인기가 많다 보니 세 곳 모두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운용보수 역시 경쟁이 치열한 편입니다.
운용보수 및 수수료
지금 현재는 ACE 쪽이 운용보수 및 총수수료를 비교해보면 가 가장 저렴한 상태이고, TIGER의 경우 상장한지 아직 얼마 되지 않았기에 정확한 총 수수료는 시간이 조금 지나봐야 명확하게 확인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국내 ETF 운용보수의 경우, 명목상으로 보여지는 운용보수 외에도 기타비용 등에 대한 총비용 및 총 수수료를 꼼꼼히 따져보는 것도 좋으니 위의 글을 참고하셔서 총비용을 보는 방법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분배금
ETF의 경우 배당금이 아닌 분배금이라 부르고 있는데요. 분배금 역시 미국 SCHD의 경우, 분기 지급 방식이지만, 한국판 SCHD는 세 곳 모두 매월 월지급 형태로 분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ACE의 경우엔 올해 상반기 까지는 미국 SCHD와 마찬가지로 분기 지급이었으나, 9월부터 월지급으로 변경된다고 하는군요.
한국판 SCHD 투자 방향
미국 SCHD와 마찬가지로 배당성장을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투자 보다는 최소 5년 이상 장기투자를 권하는 ETF이고요. 국내 ETF 자산운용사 선택은 위의 비교표를 꼼꼼히 따져본 후 운용보수 및 수수료 등 자신에게 맞는 자산운용사를 선택해서 투자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위의 투자 상품에 대한 생각은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모두 본인에게 있다는 점 알아두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