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1금융권 파킹통장 금리 이자 비교 및 추천 순위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전 세계적인 물가상승으로 인해 금리가 꽤 높아진 상태에서 국내 1금융권을 비롯한 은행 예금 금리가 살짝 오르는 듯했지만, 다시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 같더라고요. 또한 금리가 높다고 해서 오랜 기간 동안 돈이 묶여 있어야 하는 일반적인 은행 예금 보다는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비교적 금리가 높은 파킹통장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파킹통장이란?
예전 저금리 시대에는 파킹통장에 대한 인지도가 그리 높은 편이 아니었지만, 고금리 시대에 와서 새삼 부각되고 있는 것이 바로 파킹통장인 것 같습니다. 파킹통장은 최소 1년 이상 돈을 묶어두고 유지해야 하는 정기예금, 정기적금과 다르게 단기간 예치를 하면서도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고 거기에 고금리까지 적용을 받을 수 있는 예금 상품입니다. 말 그대로 높은 금리를 받으면서 돈을 보관해 놓는 통장이라 보면 되지요.
파킹통장을 만들 수 있는 곳은?
- 1금융권 (시중은행 ) : 예금자보호 O, 비교적 금리 낮음, 안정성
- 저축은행 : 예금자보호 O, 높은 금리, 1금융권 비해 불안함
- CMA : 예금자보호 X, 비교적 높은 금리
파킹통장을 만들 수 있는 곳은 크게 3곳의 금융권으로 나뉠 수 있는데요. 1금융권, 저축은행, CMA 등이 있습니다. 시중은행에서 판매하는 1금융권 파킹통장은 예금자보호가 되는 안전한 계좌이지만, 저축은행이나 CMA 보다는 금리가 조금 낮은 편이고, 반면 저축은행 파킹통장은 예금자보호가 되면서도 금리가 꽤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저축은행이라는 것이 왠지 모르게 약간 걸리는 편이기도 하고, 마지막 CMA 통장 역시 1금융권 파킹통장 보다는 금리가 높은 편이지만,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지요.
1금융권 파킹통장 금리 비교 (2023년 7월 현재)
SC 제일은행 EZ 통장
- 기본 금리 : 연 2.6% (계좌 신규 시 첫 6개월간은 1% 우대 금리 추가)
- 가입금액 : 제한 없음
- 개설 방법 : 모바일/인터넷 뱅킹, 영업점 방문
- 이자 지급일 : 매월 첫 영업일
- EZ통장 한도제한 해제 [바로가기]
KDB 산업은행 HI 비대면 입출금 통장
- 기본 금리 : 연 2.3%
- 가입 금액 : 제한 없음 (계좌 개설 시에는 0원 계좌로만 개설 가능)
- 개설 방법 : 모바일/인터넷 뱅킹
- 이자 지급일 : 매월 첫 영업일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 기본 금리 : 연 2.3%
- 가입 금액 : 최대 3억원
- 개설 방법 : 모바일 뱅킹
- 이자 지급일 : 매일 하루에 한 번 (일복리 적용 가능)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 기본 금리 : 연 2.2%
- 가입 금액 : 최대 1억원
- 개설 방법 : 모바일 앱
- 이자 지급일 : 매월 네번째 금요일의 다음날 또는 고객이 이자 지급을 요청한 날
토스뱅크 통장
- 기본 금리 : 연 2%
- 가입 금액 : 제한 없음
- 개설 방법 : 모바일 뱅킹
- 이자 지급일 : 매월 1일 또는 고객이 앱에서 이자 지급 요청 시에 이자계산 방법에 의해 이자 지급
결론
전체적으로 보면, 몇 달 전보다는 파킹통장의 금리가 대체로 조금씩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 때 1금융권 파킹통장이라 하더라도 3%에 육박했었는데, 지금은 대부분 2% 초중반대에 머물러 있네요. 그래도 1금융권은 최대 5천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되고, 비교적 안전하게 맡겨놓을 수 있는 곳이니 금리 및 가입 금액, 이자 지급일 등을 비교적 꼼꼼히 살펴보고 선택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1금융권 보다 비교적 금리가 높고 거기에 예금자보호까지 되는 저축은행 및 CMA 파킹통장에 대한 내용도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