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시대가 변할수록 탄소배출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내연기관 차량 보다는 전기차나 수소차 같은 친환경 자동차가 대세가 될 예정인데요. 이러한 친환경 자동차의 보급을 확산시키기 위해 정부 및 각 지자체에서는 전기차 구매시 보조금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올해 2023년 기준 전기차 보조금 정책 기준 현황과 함께 보조금 신청 절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차 보조금 종류 및 지원 대상
- 전기차 보조금 = 국고보조금 + 지자체 보조금
- 보조금 지원 대상 : 개인, 법인, 공공기관, 지자체, 지방공기업 차량에 한하며(중앙행정기관 차량은 제외), 지자체 보조금은 관할 지자체 내 거주자에 따라 정해진 금액 지급
2023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 변화
예전에 전기차가 출시된 초창기 시절에는 전기차 구입자가 그리 많지 않아 보조금도 꽤 넉넉하게 받을 수 있었는데, 해가 갈수록 전기차 수요가 늘어나고 그에 따라 지원금 및 보조금 규모도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 전년도와 비교하여 지원 차량 규모는 확대하면서도 지원금 규모는 축소
- 전기차 충전기 인프라 확충에 보다 더 많은 예산 배정
아무래도 전기차 구매자가 많아지다 보니 보조금 혜택을 받는 차량 수는 늘어나지만, 대신 예산이 한정적이다 보니 지원금 규모는 국고보조금 기준 평균 100여 만원 정도 축소될 예정입니다. 그리고 전기차가 늘어남에 따라 충전소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여 충전소를 늘리는데 예산이 집중 투입될 예정이라고 해요.
전기차 차종별 국가보조금 (2023)
- 차종별, 제조사별, 차종별로 전기차 국고 보조금이 달라짐
- 승용차 : 최소 400만원 – 최대 700만원까지
- 화물차 : 최소 600만원 – 최대 1840만원까지
- 승합차(버스 포함) : 최소 2000만원대 – 최대 1억 4천만원대
- 이륜차 : 최소 85만원 – 최대 300만원
기타 차량 및 제조사별 및 차종별, 차량모델별로 구체적인 국고보조금 금액을 확인하고 싶으면,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 지자체별 보조금 (2023)
- 서울, 경기도, 세종 : 200만원
- 부산, 울산 : 350만원
- 인천 : 360만원
- 대구, 광주 : 400만원
- 대전 : 500만원
전기차 지자체별 보조금도 해마다 점점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서울 및 광역시 기준 대도시 지원금이 꽤 많이 줄어든 편입니다. 반면 인구 및 차량등록수가 적은 지자체일수록 보조금이 더 많은 편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절차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절차 및 방법은 우선 각 지자체별로 보조금 지원 사업 공고가 나면, 그 때부터 신청을 하면 되는데, 구매자는 차량구매대금에서 보조금을 뺀 차액만 제조사에 지불하고, 나머지 보조금에 대한 금액은 제조사에서 직접 지자체로부터 수령받는 방식으로 진행되니 참고하시고, 실제 구매고객은 보조금을 제외한 실 구매금액만 준비하시면 됩니다. 아마 전기차 구입할 때 대리점 영업사원이 자세히 알려줄거예요.